반응형
2025년 대형 산불 피해지원금 신청 방법 및 추가 지원 프로그램 안내
2025년 3월, 경북과 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인해 수많은 가구가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에 정부는 해당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피해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산불 피해 지원금 신청 방법, 지급 일정, 그리고 추가 지원 프로그램을 상세히 안내해 드립니다.
1. 산불 피해지원금 지원 대상 및 금액
지원 대상:
- 경북 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등 5개 시군 주민 (총 27만여 명)
- 주택 피해자 (전소, 반파, 부분 소실)
- 농경지 및 사업장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
- 생계곤란 저소득층
지원 금액:
피해 유형 지원 금액
주택 전소 | 5,200만 원 |
주택 반파 | 3,100만 원 |
부분 소실 | 1,150만 원 |
세입자 주거지 피해 | 2,500만 원 |
지역 주민 1인당 지원금 | 30만 원 |
특이 사항: 지원 대상이 피해 주민뿐만 아니라 전 지역민으로 확대됨.
2. 지원금 신청 방법
온라인 신청
- 접수처: 국민재난안전포털 (www.safekorea.go.kr)
- 신청 절차:
- 회원가입 및 본인인증
- ‘사유재산 피해신고’ 메뉴 선택
- 피해 유형 선택 (주택/농지/시설 등)
- 증빙자료(피해 사진, 소유권 증명) 업로드
- 신청서 제출 후 검토
http://www.safekorea.go.kr/
www.safekorea.go.kr
오프라인 신청
- 접수처: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제출 서류:
- 주민등록등본
- 피해 현장 사진 (10장 이상)
- 재산권 증명 서류
- 특이 사항: 현장 조사 후 7일 이내 심사 결과 통보
3. 지급 일정 및 유의 사항
지급 일정:
- 1차 심사 통과자: 4월 10일부터 순차 지급
- 2차 추가 심사자: 5월 20일까지 완료 예정
- 긴급 생계비: 신청 후 3일 이내 50만 원 선지급
유의 사항:
- 지자체별로 지원 절차가 다를 수 있음 (예: 경북도 추가 지원금 30만 원 지급)
- 피해 정도에 따라 추가 서류 제출 요구 가능
- 타 재난지원금과 중복 수령 불가
4. 산불 피해 추가 지원 프로그램
주거 지원
- 임시 거주지 제공: 에어돔 임시주택 1,200세대 한시적 제공 (최대 6개월)
- 전세자금 대출 지원: 금리 1.5%p 인하 (국민은행, 신협 등 8개 은행 참여)
의료 및 심리 지원
- 건강보험료 감면: 6개월 간 70% 감면
- 트라우마 치료: 희망브리지 심리상담센터 무료 이용 (☎1800-0094)
농업 및 임업 지원
- 폐농자재 처리비 지원: 1ha당 최대 120만 원 지원
- 묘목 무상 공급: 산림조합중앙회 배상조림 사업 참여 시 지원
5. 민간 기관 및 기업 지원
재난구호 모금 캠페인
- 카카오같이가치: 굿네이버스 주관으로 1인 5천 원~5만 원 기부 가능
- 희망브리지: ‘산불 피해자 일상 회복 프로젝트’ 후원 가능 (계좌이체 가능)
기업별 지원
- 삼성전자: 피해 가구 대상 가전제품 무상 교체
- 현대자동차: 피해 차량 수리비 50% 지원 (최대 300만 원)
6. 신청 전 필독 사항
- 중복 수령 불가: 다른 재난지원금과 중복 지원이 제한될 수 있음
- 사기 주의: 공식 채널이 아닌 개인 계좌로 지원금을 요구하는 경우 즉시 신고 (☎ 경찰청 산불사기신고센터 182)
- 추가 문의:
- 산림청 산불피해상담센터: ☎1588-3249
- 경북도 재난콜센터: ☎054-880-2119
이번 산불 피해 지원금은 기존보다 약 30% 증액되어 지급되며, 신청 기간이 짧은 만큼 서둘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지자체별 추가 지원 혜택이 다를 수 있으니 거주 지역의 공식 홈페이지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 쓰던 이것"이 암을 유발할 수도 있다? 베이비파우더와 중피종의 관계 (0) | 2025.03.30 |
---|---|
아파트 청약 신청 방법, 내 집 마련의 첫걸음 (0) | 2025.03.30 |
유산소 운동 자전거 다이어트, 얼마나 타야 효과 있을까? 체중감량효과 (0) | 2025.03.30 |
"나도 모르는 사이 산불 범인이 될 수 있다?!" 산불 원인별 충격 통계 분석과 위험 지역 집중 해부 (0) | 2025.03.30 |
"주말 등산객 필독!" 도시 근교 산불, 나 하나쯤 괜찮겠지? 당신의 작은 부주의가 대형 재앙을 부를 수 있습니다! (0) | 202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