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공감과 좋아요는 이 블로그를 유지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 ) 구글 애널리틱스란 무엇인가? >> 애널리틱스는 구글에서 제공해주는 무료 웹로그분석 툴이다. 애널리틱스로 웹사이트 및 모바일 앱 데이터를 수집하고 측정 분석하여 다양한 인사이트를 제공해준다. 특히 온라인 광고 캠페인과 사이트 및 앱을 최적화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애널리틱스를 통해 어떤 고객이 어떤 소스로 유입되고 있는지 아니면 웹사이트 / 앱에서 언제 이탈하는지를 보여주게 되면, 사용자는 자료를 활용해 다양한 각도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구매 경로를 파악하여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채널을 보여준다거나, 마케팅 및 온라인 광고 캠페인 전략을 개선할 수 있다. 애널리틱스의 구성 애널리틱스의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공감과 좋아요는 이 블로그를 유지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 ) 구글 애널리틱스를 이용하면서 보이는 메뉴 중 사용자와 신규 방문자가 있다. 사용자와 신규 방문자의 차이는 무엇일까? 사용자에 마우스를 가져다대면 의미가 나온다. 간단하게 정리하면, 사용자 (Users) - 구글 애널리틱스에 측정된 유저를 뜻한다. 쿠키 기반으로 가기 때문에 중복은 잡지 않는다. 신규 방문자 (New users) - 이미 이전에 방문한 사용자를 제외한 신규 방문자, 말그대로 웹사이트를 처음 방문하는 유저를 뜻한다. 좌측 잠재고객 메뉴에서 보면 [행동]이라는 메뉴가 있다. 신규 방문 (New Visitor)와 재방문 (Returning Vistor) 가 보인다. 신규 방문자 (New Visitor) - 보통 유료 광고 및 소셜 네..
공감과 좋아요는 이 블로그를 유지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 ) GA / 애널리틱스를 사용하다보면 페이지뷰와 순 페이지뷰 데이터를 볼 수 있다. 애널리틱스 좌측 메뉴에서 행동 > 사이트 콘텐츠 > 모든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페이지뷰 수와 순 페이지뷰 수는 무엇인가? 페이지뷰 수 (Pageviews)는 조회한 페이지의 총 개수이다. 한 페이지를 반복적으로 조회한 수도 집계에 포함된다. 즉 여러 번 페이지에 접속할 때마다 집계가 된다는 말이다. 페이지뷰 수 (Pageviews)의 기본 측정 방식은 HIT 단위로 집계된다. 예를 들어, 방문자가 A 웹페이지 > B 웹페이지 > A 웹페이지를 방문했다면, 페이지뷰 수 (Pageviews)는 총 3개다. 순 페이지뷰 수 (Unique Pageviews)는 세션..
공감과 좋아요는 이 블로그를 유지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 ) GA / 구글 애널리틱스의 설정 언어를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애널리틱스 화면 좌측 하단의 톱니바퀴의 관리 (1번) 가 있다. 다음 상단 탭을 보면 관리자와 사용자 (2번) 탭을 클릭한다. 설정 내용 중에 언어 (Language)가 보인다. 원하는 언어로 변경 후 아래로 내려간다. 제일 밑으로 내려가면 화살표처럼 가리키는 저장버튼이 보일 것이다. 공감과 좋아요는 이 블로그를 유지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 )
공감과 좋아요는 이 블로그를 유지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 ) 내가 블로그를 하는 이유 중 하나는 개발자 영역에 발을 들이고 싶어서다. 사실 현재하는 일은 개발자 영역과 무관하다. 그런데 간혹 개발자 영역의 지식 (?) 까지 동원해야하는 경우가 있어 이런 상황에서 모른채 그냥 넘어간 부분이 스스로에게 아쉬웠다. 여러 플랫폼 중 Tistory가 HTML / CSS를 편집할 수 있어, 이것을 통해 내가 필요한 부분을 연습해보려한다. 반면 Naver 블로그는 이런 기능이 없는 것 같아 아쉽다. 일단 블로그에 Google Analytics 코드를 심어보려 한다. 이제 이것을 가지고 Tistory 블로그에 심어본다.마지막 그림에 사이에 복사한 구글 애널리틱스 스크립트를 붙여넣기하면 된다. 다 마쳤다. 이제..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