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게요'가 맞을까, '갈께요'가 맞을까? 헷갈리는 맞춤법 정확히 짚어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728x170

 

'갈게요'가 맞을까, '갈께요'가 맞을까? 헷갈리는 맞춤법 정확히 짚어드립니다

'갈게요'가 맞을까, '갈께요'가 맞을까? 헷갈리는 맞춤법 정확히 짚어드립니다

 

일상 대화 중에 무심코 사용하는 말 중에서, 맞춤법이 맞는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특히 문자나 댓글, 메신저에서 자주 쓰는 표현일수록 더욱 그렇죠.

 

 

“나 먼저 갈게요!”라는 말을 쓰면서, 문득 ‘갈게요’가 맞는 걸까, 아니면 ‘갈께요’가 맞는 걸까? 고민해 본 적 있지 않으셨나요?

 

 

이 글에서는 그동안 혼동하기 쉬웠던 두 표현의 정확한 맞춤법과 쓰임, 그리고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방법까지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바쁜 일상 속에서도 올바른 언어 사용을 실천하고 싶은 분들이라면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

 

 


‘갈게요’와 ‘갈께요’, 무엇이 맞는 표현일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정확한 맞춤법은 ‘갈게요’**입니다.

 

‘갈께요’는 틀린 표현이며,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왜 많은 사람들이 '갈께요'라는 표현을 잘못 사용하게 되었을까요?

 

 


‘갈게요’의 어원과 문법 구조

‘갈게요’는 다음과 같은 문법적 구조를 가집니다.

  • 동사 ‘가다’ + ㄹ게요(의지 표현의 종결 어미)
  • 즉, 가 + ㄹ게요 = 갈게요

 

 

‘-ㄹ게요’는 화자의 의지나 결심을 나타내는 어미로, 상대방에게 간접적으로 허락을 구하거나 정중하게 예고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예)

  • 이제 그만 갈게요.
  • 나중에 다시 연락드릴게요.
  • 먼저 퇴근할게요.

이처럼 ‘갈게요’는 정중하고 자연스러운 표현이며, 일상 회화와 문서에서도 널리 쓰입니다.

 

 


왜 ‘갈께요’는 틀린 걸까?

많은 사람들이 **‘갈게요’**와 발음이 비슷한 **‘갈께요’**를 혼동합니다. 실제 발음은 [갈께요]로 들리기 때문에, 쓰기에서도 그렇게 쓰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갈께요’는 표준 맞춤법에 어긋나는 표현입니다.

 

 

‘ㄹ게요’의 철자 원칙은 ‘ㄹ’ 받침이 아닌, ‘ㄹ’ 어미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거기에 자음을 하나 더 추가해 **‘께’**로 쓰면, 국어 문법상 존재하지 않는 어미 조합이 됩니다.

 

 

즉, ‘갈께요’는 말할 땐 가능해도, 글로 쓸 때는 올바르지 않다는 것입니다.

 

 


비슷한 오용 표현들: 갈께요 말고도 이런 표현들 주의하세요

  1. **할께요 ❌ → 할게요 ⭕
  2. **볼께요 ❌ → 볼게요 ⭕
  3. **먹을께요 ❌ → 먹을게요 ⭕

위 표현들도 모두 ‘-ㄹ게요’가 맞습니다. ‘-께요’는 존재하지 않는 어미이기 때문에, 올바른 철자를 익혀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ㄹ게요’ 어미를 쓸 때 기억해야 할 포인트

  1. 화자의 의지를 표현할 때 사용
    • 예: 내일 아침 일찍 나올게요.
  2. 상대방에게 정중하게 예고하거나 요청할 때
    • 예: 조금 이따가 다시 연락드릴게요.
  3. 자주 쓰는 동사와 함께 익혀두기
    • 가다 → 갈게요
    • 하다 → 할게요
    • 보다 → 볼게요
    • 먹다 → 먹을게요

‘갈게요’와 함께 자주 사용하는 상황별 예문

상황예문
회의 마무리 이만 회의실 나갈게요. 수고하셨습니다.
전화 종료 그럼 이따가 다시 전화드릴게요.
약속 정리 오늘 고마웠어요. 먼저 갈게요.
메시지 응답 알겠어요, 그럼 5시에 갈게요.

실제 생활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현들이기 때문에, 상황별로 자연스럽게 써보는 것도 좋은 연습이 됩니다.


외우는 팁: ‘갈게요’의 ‘게’는 ‘계획’의 ‘게’라고 기억하세요

혼동을 줄이는 간단한 암기법을 알려드릴게요.

  • ‘갈게요’의 ‘게’는 계획(plan)의 ‘게’다!
  • 화자의 계획을 말하는 표현이기 때문에 ‘ㄹ게요’로 써야 맞습니다.

 

이렇게 기억하면, 자연스럽게 ‘갈께요’가 틀렸다는 것도 떠오르게 됩니다.


마무리: 작은 표현 하나가 당신의 글을 신뢰 있게 만듭니다

짧은 문자 한 줄, 댓글 하나에도 맞춤법은 당신의 표현력을 보여주는 요소입니다. ‘갈게요 vs 갈께요’처럼 자주 쓰지만 헷갈리기 쉬운 표현들을 정확하게 알고 사용한다면, 소통에서 신뢰감도 함께 전달할 수 있습니다.

 

 

오늘 이 글을 통해 확실히 이해하셨다면, 이제부터는 ‘갈게요’만 기억해 주세요. 그리고 주변에서 누군가 ‘갈께요’를 쓴다면 부드럽게 알려주는 센스도 좋겠죠.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