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 위반 과태료 및 예방법

728x90
반응형
728x170

 

2025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 위반 과태료 및 예방법

2025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 위반 과태료 및 예방법

부동산 거래 후 실거래가 신고는 필수입니다. 신고를 누락하거나 잘못 신고하면 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1. 실거래가 신고 기본 개념

  • 신고 의무자
    • 중개사 거래: 중개업자가 신고 (책임은 매도·매수인도 있음)
    • 개인 간 거래: 매도인과 매수인이 공동 신고
  • 신고 기한
    • 매매 계약: 30일 이내
    • 분양 계약: 60일 이내
    • 전월세(보증금 6천만 원 초과): 30일 이내
    • 계약 해제: 해제일로부터 30일 이내

2. 신고 위반 유형 및 과태료

위반 유형 과태료 금액

미신고 최대 5,000만 원 (거래 금액에 따라 다름)
허위신고 취득세의 최대 10배 (최대 5,000만 원)
지연신고 기한 초과 기간에 따라 과태료 증가 (최대 금액의 80%)

3. 신고 위반 사례 및 대처법

  • 중개사의 신고 누락 → 즉시 신고 후 증빙자료로 이의신청
  • 다운계약서(허위 신고) → 적발 시 과태료 + 세금 추징 (감경 어려움)
  • 친인척 간 거래 미신고 → 예외 없이 신고해야 함

4. 과태료 감경 및 이의신청 방법

  • 감경 가능 사유
    • 자진 신고(50% 감경), 경제적 어려움(50% 감경), 사소한 오류(30% 감경) 등
  • 이의신청 절차
    • 과태료 통지 후 60일 이내 신청 → 심의 후 결과 통보

5. 실거래가 신고 예방 방법

  • 계약 시 실제 거래가격으로 작성
  • 중개사를 통해 거래 시 신고 여부 직접 확인
  • 국토교통부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rtms.molit.go.kr) 에서 신고 내역 조회
  • 전자계약 활용 시 신고 자동 처리 가능

6. 2025년 달라지는 실거래가 신고 제도

변경 사항 내용

신고 대상 확대 소규모 전월세까지 포함
전자계약 활성화 일부 지역 의무화, 인센티브 제공
신고 절차 간소화 모바일 간편 신고 시스템 도입
과태료 강화 투기지역·과열지구 위반 시 가중 처벌

✅ 핵심 요약:

  • 신고 기한 준수 필수 (매매 30일, 분양 60일)
  • 미신고·허위신고·지연신고 시 과태료 발생
  • 중개사가 신고하더라도 본인이 확인해야 안전
  • 전자계약 활용하면 신고 자동 처리 가능
  • 이의신청 및 감경 신청 가능 (자진신고 시 최대 50% 감경)

과태료를 피하려면 신고 기한을 꼭 확인하고, 신고 여부를 직접 점검하세요!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